저장매체, 어디까지 왔나?
윙~소리를 내며 빙글빙글 도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담긴 플로피디스크를 기억하시나요? 1960년대 개발되어 약 3~40년 이상 대중에게 널리 이용되었던 플로피디스크는 용량이 작았기 때문에 여러 장을 바꾸며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게임을 해야 했던 추억들이 지금 2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조금씩 있을 겁니다.
5.25인치 플로피디스크, 한 장에 1MB도 되지 않는 용량에 자석에 닿거나 꺾이게 될 경우 다시 사용하지 못하는 등 데이터의 안전성에도 큰 문제가 많았습니다.
출처:@avlxyz / (http://www.flickr.com/photos/avlxyz/5767427108/)
필름 재질의 디스크 표면에 금속물질을 얇게 도포하고, 자석의 N극과 S극을 이용해 저장과 읽기를 했던 플로피디스크의 방식은 저렴한 가격에 일반인에게 많이 쓰였지만 쉽게 파손되고 데이터가 지워지며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작았기에 많은 불편함을 주었습니다. 이때 나타났던 새로운 장치가 바로 하드디스크입니다. 플로피디스크와 대부분의 기능은 동일하지만 금속 코팅을 한 판, 플래터의 도입을 통해 용량을 높이는 대신 휴대성을 낮추고 컴퓨터 안에 설치되는 주변기기의 하나로 자리 잡기 시작합니다.
출처:@Roberto F.(http://www.flickr.com/photos/robfon/2174992215)
그 다음의 하드디스크의 기술은 ‘어떻게 하면 자성을 더 강하게, 더 조그만 공간에 많이 정보를 넣을 수 있을까’였습니다. 이 때 1988년, 새로운 기술이론이 등장합니다. 바로 GMR(Giant magnetoresistance)이라 불리는 거대자기저항 이론의 발견이었습니다. 파리의 알베르 페르 교수(Albert Fert)와 독일의 피터 그륀베르크 교수(Peter Grünberg)는 자성을 쉽게 띄는 철과 자성이 잘 띄지 않는 크롬을 1나노미터 정도로 얇게 만들어 서로 붙였을 때 기존의 철에 비해 자성을 띄는 정도가 매우 커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를 통해 더 작은 크기의 공간에서도 쉽게 서로 반대되는 자성, 즉 0과 1을 띨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발견한 것입니다. 또한 IBM은 10년 뒤 이 GMR기술을 이용한 기존보다 더 용량이 커지고 속도도 빨라진 (똑같은 공간에 저장을 많이 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를 상용화 했고, 위의 두 교수는 200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계속된 기술개발로 1메가,2메가바이트를 저장하던 시대에서 지금은 1테라바이트,2테라바이트 이상을 집안에서 손쉽게 저장하고 보관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사진줄처: IBM
100개도 되지 않는 원자로 2진수 8자리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IBM연구 동영상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hpKMShooDBo&feature=player_embedded
저장장치의 발달은 앞으로 계속 될 것이고, 과학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보다 더 많은 기억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과연 그 저장해놓은 정보를 전부 제대로 사용하고 있나요? 우리가 소중하게 여기는 것들을 잠시 ‘저장, 소장’하려던 것에서 일단 ‘저장’해놓고 나중에 보자고 아무 의미 없이 보관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나중에 다시 볼 수 없기에 먼 길을 가서 보고 온 옛날 필름영화가 다시 보면 그때의 감동이 살아나지 않는 것처럼, 세상엔 저장해놓지 않아도 되는 기억들, 추억들도 함께 공존하는 것은 아닐까요? 뮤지컬이나 아름다운 자연, 행복한 시간을 즐길 때는 저장하지 않고 자신의 두 눈에, 내 마음속의 저장장치에 추억을 기록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사진출처: @t23e(http://www.flickr.com/photos/t23e/1208600250)
'생활속의 과학 > 우리 주변 속 숨은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아웃, 당신의 뇌가 깜박인다? (0) | 2012.03.26 |
---|---|
저장매체 기술, 어디까지 왔나? (0) | 2012.03.26 |
하늘을 나는 배, 위그선을 아시나요? (1) | 2012.03.23 |
패스트푸드와 정크 푸드의 위험성 (2) | 2012.03.22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