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이제는 그들도 들을 수 있다 !
청각장애를 가진 ‘연두’ - 영화 ‘도가니’
이 말은 바로 지난 9월 개봉한 영화 ‘도가니’에서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연두’가 법정에서 한 대사인데요,
연두는 어떻게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었을까요?
청각장애인,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할까? 이미지출처 : flickr(@Travis Isaacs / http://www.flickr.com/photos/tbisaacs/3911558890/sizes/z/in/photostream/)
우리는 흔히 청각장애라고 하면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청각장애인 모두가 소리를 못 듣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소리도 듣지 못하거나 들어도 변별이 안되는 사람, 보청기 등을 착용해도 소리 자극을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은 ‘농인’으로 분류합니다. 하지만 청각장애인은 (일명 난청환자) 여러 원인에 의해 정상인처럼 소리를 완벽하게 듣지 못하는 경우로, 이런 경우를 청각장애 또는 청력장애인으로 분류합니다.
연두가 음악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원리는…? 이미지출처 : flickr(@tim geers / http://www.flickr.com/photos/timypenburg/5915364622/sizes/z/in/photostream/)
그렇다면 연두는 어떻게 음악소리를 들을 수 있었을까요?
이는 앞서 이야기한 소리를 듣는 정도의 차이와는 다른 방향에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사실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사람의 말소리는 잘 듣지 못해도 음악소리는 소리나 진동으로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예전에 청각장애가 있던 한 지인이 말하길, 자신은 사람의 말은 알아듣기 어렵지만 음악소리는 어렴풋이 들을 수 있다고 하더군요. 소리는 듣지 못하지만 음악은 진동으로 느낄 수 있다고 말이죠.
연두의 청력을 되찾게 해 줄 ‘인공와우수술’ 이미지 출처 : flickr( @Dicksijtsma / http://www.flickr.com/photos/dick-sijtsma/6082562008/)
일반적으로 30db(데시벨)이상의 청력손실이 있으면 보청기를 착용합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BAHA(골전도 보청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보청기는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고, 연두의 경우와 같은 8~90 데시벨 이상의 고도 청각 장애에는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청각장애의 근본적인 해결책 ‘줄기세포(Stem cell)’
현재는 인공와우수술이 청력을 되찾는 유일한 대안이지만, 귀 뼈를 뜯었다 다시 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청각신경이 완전히 상실되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따릅니다.
이와 같은 불편을 덜고자 최근 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청 치료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하는데요, 작년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줄기세포연구소 신근우 박사는 “쥐의 줄기세포를 청각 기능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달팽이관의 유모(有毛)세포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찾았다.”며 “미래에는 유모세포를 이식해 청각을 잃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스물아홉에 처음 내 목소리를"… Esteem Implant 이식한 여성의 감동 영상
지금도 청각장애 해결을 위한 줄기세포 연구는 계속 되고 있습니다. 가톨릭대 의대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경호 교수는 “최근 사람의 고막에서 성체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이를 신경전구체와 내이 유모세포 및 신경세포로 각각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히며 “세포 치료를 통해 일정 수준의 유모세포를 재생시켜주면 보청기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와우 신경절의 신경세포 수를 늘려줌으로써 인공와우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습니다.
약 2억 5000만 명의 청력을 잃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안겨다 줄 줄기세포연구. 그들이 가족들과 친구들 그리고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봅니다.
글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블로그 기자 정 희 엽
'생활속의 과학 > 우리 주변 속 숨은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코패스] 정장차림의 뱀, 당신을 노린다. (5) | 2011.11.15 |
---|---|
영화 '도가니'에서 연두가 음악을 들을 수 있었던 이유는? (5) | 2011.11.15 |
방사선과 방사능, 위험하기만 한걸까? (3) | 2011.11.14 |
스티브잡스, ‘융합의 대명사’가 남긴 7 가지 선물 (7) | 2011.11.1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영화로부터저는슬픈 감정을받았습니다. 제가이렇게되었다면 어떨까요???
저는 그부분이가장슬펐습니다 담임선생님이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세탁기에그아이의머리를넣고돌리기시작하였습니다. 그사건후
아이들은점점더 두려움에떨기시작하면서민수라는아이가
치하철에서자살했습니다ㅠㅠ 이만저도무서워서요
민서님, 도가니 사건은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었습니다. 모든 국민들을 분노하게 만든 사건이었죠.. 주위에 관심을 가지고 바라본다면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을 거예요. 너무 무서워하지 마시길^^
보면서 '어? 어떻게 듣지..?' 하면서 봤는데..
진동으로도 음악을 들을수 있었군요....
정말 신기합니다!
네, 음악같은 경우 그 진동을 통해 듣기도 한다고 하더라고요^^
아주 좋은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