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디지털국토엑스포, 공간정보의 최첨단 속으로!
2011 디지털국토엑스포 현장
- 우리가 살아가는 지상공간부터 지하, 수상, 수중, 우주까지 공간상에 존재하는 모든 자연물이나 인공물의 위치와 관련한 정보입니다. GPS, 내비게이션, 로드뷰 등이 모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개발된 시스템이며, 최근 ‘스마트폰 혁명’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입니다.
올해는 GIS, 지적, 측량, 해양 등의 분야에서 100여 개 기관·기업·대학이 참가하여 공간정보기술의 첨단 신기술을 소개하고 비전을 제시하였으며, 학생·연구원·기업관계자 등 많은 관람객이 우리나라 공간정보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하였습니다.
*GIS(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교통·통신 등과 같은 지형 관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디지털국토엑스포를 방문한 국토해양부 권도엽 장관
국토해양부 권도엽 장관님께서도 현장을 방문하시어 참가업체 관계자들을 격려해 주셨고요.
그럼 전시장에서 눈길을 끌었던 전시부스 속으로 함께 들어가 보실까요?
하늘에서 바라보는 도시
(주)지노시스템 부스
‘에어스케이프(Air scape)'라는 장치를 소개하고 있는데요, 서울시 전역을 ‘하늘’에서 3D로 감상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에어스케이프(Airscape)
(주)지오시스템 관계자는 “현재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항공뷰 등은 실 사진을 2D로 편집한 것이지만, 에어스케이프는 3D로 제작하여 더욱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며, “현재는 여의도, 강남 등 서울의 주요 산업구역을 중심으로 데이터화되어 있지만 전국으로 그 대상을 확산시켜 제공할 경우, 교육용, 홍보용, 감상용으로 그 활용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항공에서 촬영한 도시의 모습은 도시의 미래 모습을 계획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인천광역시 전시부스
이곳에서는 인천의 경제자유구역을 수년간 촬영해 온 항공사진을 데이터화함으로써, 도시의 모습을 기록하고, 미래 도시를 설계하는 데 반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해당구역의 항공전경은 물론이고, 도로, 표지판, 건물 등의 공간정보, 그리고 오른쪽 사진에서 도표로 나타난 ‘맨홀박스_하수대장조서’처럼 지하 구조물의 정보까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시‧구청의 토지정보과와 도시계획과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하네요. 해당 지역을 직접 가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업무에 무척 효율적인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2편에서 이어집니다
'생활속의 과학 > 우리 주변 속 숨은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이 뜬다. In 세계유기농대회 (3) | 2011.11.07 |
---|---|
2011 디지털국토엑스포, 공간정보의 최첨단 속으로! <1> (1) | 2011.11.02 |
2011 디지털국토엑스포, 공간정보의 최첨단 속으로! <2> (3) | 2011.11.02 |
밤하늘에 흐르는 별, 유성(流星, Meteor) (3) | 2011.11.0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주 좋은 블로그